본문 바로가기

놀거리/숲에서 만난 세상

등산 중 만난 봄나물과 독초! 구별하는 방법은?



매섭던 겨울 추위가 어느새 물러가고 완연한 봄의 기운이 느껴지는 요즘입니다. 한결 포근해진 날씨에 많은 사람들이 바깥 나설 채비를 서두르고 있는데요. 겨우내 움츠렸던 몸이 활발한 활동을 하기 위해선 많은 영양소를 필요로 하죠. 특히 에너지대사를 높이는 영양소인 비타민이 겨울보다 3~10배 더 필요합니다. 이러한 비타민을 충족시켜주는 것이 바로 ‘봄나물’입니다.



짧은 봄철 고개를 내밀었다가 금새 사라져버리는 봄나물은 여느 계절의 나물들과는 다르게 입맛을 끌어당기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맘때쯤이면 산으로, 들로 향긋한 봄나물을 채취하기 위해 다니는 사람들을 자주 볼 수 있는데요. 혹시 봄나물인지 알고 채취했는데, 독초를 채취했던 경험들 갖고 계신가요?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이 2003년부터 2010년까지 발생한 자연독 식중독 사례를 분석한 결과 23건에 262명의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이 중 ‘식물성(8건, 191명), 독버섯(6건 41명), 동물성(9건, 30명)’으로 봄철에는 야생 식물류에 의한 식중독 사고가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봄철은 나물을 캐기 가장 좋은 계절이지만, 싹이 돋고 꽃이 피기 전이어서 식용과 독초를 쉽게 구분하기가 힘들어 독초 중독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것입니다. 오늘은 이러한 독초 식용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봄나물과 독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원추리나물(좌) – 출처: 경기넷/ 여로(우) – 출처: 산림청>


식약청의 조사 결과, 나물에 의한 식중독 중에서 원추리나물을 완전히 익히지 않고 먹은 경우가 2건 104명으로 가장 많았다고 해요. 원추리나물은 많은 사람들이 반찬으로 애용하는 봄나물입니다. 원추리 나물은 식용이 가능하지만 덜 익혀 먹는 경우 문제가 생깁니다. 충분히 데치거나 익히지 않은 상태로 먹으면 ‘콜히친(Colchicine)’ 중독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쿨히친에 중독이 되면 설사, 구토, 복통, 근육 경련, 저혈압,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과다 섭취 시에는 3일 이내에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원추리나물은 성장할수록 강한 독성을 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섭취 시에는 꼭! 어린순만 섭취하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원추리나물 채취 시 주의해야 할 것이 원추리나물과 비슷하게 생긴 여로를 알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여로는 섭취 시 구토, 실신, 마비 증상을 동반할 수 있어 확실히 구분해야 하죠.




성인병 예방에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마늘처럼 톡 쏘는 향 때문에 쌈 채소로 각광받는 산마늘(명이나물)! 요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봄나물인데요. 산마늘과 아주 비슷하게 생긴 독초가 있답니다. 바로 박새! 깊은 산 습지에서 무리를 지어 자라는 박새는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뿌리는 살충제 등으로 사용되는 식물입니다. 박새와 산마늘은 얼핏 보면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비슷해 보이는데요. 자세히 보면 박새가 산마늘보다 잎이 길고 잎의 주름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박새(좌) / 산마늘(우) – 출처: 경기넷>


봄철, 피로 회복과 잃어버린 입맛을 돋궈주는 곰취! 봄나물의 여왕이라는 별칭이 있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는 봄나물입니다. 곰취는 서늘한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는 산나물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 이와 유사한 나물이 바로 동의나물입니다. 동의나물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으로, 쉽게 볼 수 있어 곰취와 혼동하기 쉽습니다.


 

<곰취(좌) / 동의나물(우) – 출처: 경기넷>


동의나물은 수분기가 없으면 죽기 때문에 수생식물과 같이 자라는 경우도 볼 수 있어 주변에 박새와 습한 곳을 좋아하는 노루오줌 등이 같이 자라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동의나물의 뿌리는 약초로 사용되고 있지만, 잎을 생으로 먹을 경우 배탈이 날수도 있습니다. 곰취와 동의나물의 차이점은 곰취는 잎이 얇고 부드러운데 비해 동의나물의 잎은 반질반질하고 두껍죠.




봄철 독초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것은 바로 놋젓가락나물입니다. 식용인 박쥐나물과 생김새는 비슷하지만 사약재료로 쓰일 만큼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구릿대 역시 강한 독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개구릿대는 산간 주민들도 참당귀와 헷갈려 하는 산나물입니다. 쌈으로 많이 먹는 참당귀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줄기가 갈라지는 부분이 붉고 잎 뒷면이 흰 녹색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구릿대는 신경계가 마비되고 2시간 이내에 사망할 정도로 강한 독성을 가진 독초입니다.


 

<참당귀(좌) / 개구릿대(우) – 출처: 경기넷>


독초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정확한 지식을 바탕으로 봄나물을 채취하고, 잘 모르는 나물은 절대 먹지 않는 것인데요. 만약! 즐거운 산행 중 여러분이 만난 나물이 식용인줄 알고 섭취했는데, 사실 그것이 독초였을 경우에는 가장 먼저 섭취한 것을 모두 토해내야 합니다. 먹은 즉시 손가락을 목에 집어넣어 내용물을 토해내고, 더운물을 마신 후에 의사를 찾아가는 것이 독초를 식용했을 때의 가장 올바른 대처법이죠.


우리 몸에 참~ 좋은 봄나물! 하지만 잘못 알고 채취했다간 오히려 여러분의 몸을 다치게 할 수도 있습니다. 봄철 자연독에 의한 식중독이 사전에 일어나지 않도록 봄나물에 대한 지식과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