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두나무는 소득이 좋은 작물로 견과류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호두의 효능이 밝혀지면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호두나무는 추위에 약하고 지리적 제한이 있어 국내에서 재배하기 쉽지는 않습니다.
특히 가지나 잎을 잘라낸 후 다시 심어서 식물을 얻어내는 ‘삽목’ 방식이 안 되고, 둘 이상의 나무를 접붙이는 ‘접목’도 쉽지만은 않습니다. 하지만 호두나무가 가진 단점을 보완한다면 원활한 호두나무 묘목을 생산할 수 있는데요, 숲드림이 종자를 통한 묘목 생산 외에 접목을 통한 묘목생산 방법인 '유경(어린줄기)접목'을 지금부터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보통 식물을 접목하는 방법에는 '할접', '절접', '교접', '설접', '박접' 등이 쓰이는데요, 호두나무를 접목할 때는 '절접법', '수정절접법', '할접법' 등이 주로 이용됩니다. 접목은 접수(접목 시 위에 오는 부분)의 형성층과 대목(접붙이기 시 뿌리를 가진 바탕나무)의 형성층을 맞붙이는 방법으로 이뤄집니다.
종자를 파종하여 얻는 묘목(실생묘)과 접목에 의한 묘목 생산은 각각 장단점이 있지만, 접목을 통한 묘목 생산은 유전력이 완전히 전해진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우수 품종의 형질을 가진 묘목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어떤 특정 유전 형질을 가진 호두나무 생산을 원한다면 접목을 통한 묘목생산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실생묘와 접목묘의 비교>
1. 접수(접붙이기 시 위에 오는 부분) 준비
접목 시 위에 오는 부분인 접수는 12월에서 2월 사이에 채취합니다. 이는 호두나무의 수액 유동시기가 빠르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며, 접수를 채취할 때는 꽃눈이 적고 겨울눈이 충실하며 광택이 있는 건강한 1년생 가지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채취한 접수의 절단면에는 톱신페스트(나무상처보호제)를 발라 상처 부위를 보호해 주는 게 좋고요, 적당한 수분이 함유된 신선한 이끼나 젖은 종이 등을 덮고 비닐 봉투에 넣어 2∼4℃ 유지되는 저온저장고에 세워서 보관해 주세요.
2. 대목(접붙이기 시 뿌리를 가진 바탕나무) 준비
크기가 굵고 튼실한 가래나무 또는 호두나무 종자를 준비합니다. 깊이 20∼30cm인 용기에 젖은 모래를 넣고 약 10cm 깊이로 호두 종자를 파종한 후 발아를 촉진하기 위해 25℃이상 유지되는 온실에 보관하고 수시로 물을 줍니다. 종자가 발아하여 30일 정도가 지나면 10∼15cm정도 자란 호두나무의 어린줄기를 볼 수 있는데요, 이 어린줄기가 접목 시 대목으로 사용됩니다. ^^
[호두나무 유경접목 시 사용되는 대목]
3. 접목 방법
접수는 1~2개의 눈이 남도록 3∼6cm길이로 자르고, 접목부위를 쐐기모양으로 깎아줍니다. 대목은 어린줄기(유경)의 길이가 2∼4cm정도 되게 절단 후, 절단면의 중앙부를 접수의 쐐기 모양이 닫는 길이만큼 쪼갭니다.
[할접법에 의한 유경접목]
그리고 대목과 접수의 한쪽 형성층이 일치되도록 접수를 대목에 밀어 넣은 후 플라스틱집게로 고정하여 접목을 완료합니다. 접목이 이뤄진 묘목은 온실이나 화분 등에 이식하고 지속적으로 맹아(식물에 새로 트는 싹)와 잡초 등을 제거해 줍니다.
4. 접목 후 관리방법
접목을 한 뒤에는 온실 내 온풍시설이나 땅속에 열선을 설치한 뒤, 소규모의 이중 또는 삼중 비닐하우스를 만들어 주면 좋습니다. 화분에 이식하는 경우에는 충분히 물을 준 뒤, 비닐봉투를 씌워서 적절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합니다.
접목한 묘목을 심는 곳의 평균온도는 25∼27℃, 습도는 80∼90%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접목 후 이식된 묘목은 약 10∼12일 정도 지나면 눈이 트기 시작하고요, 화분 이식묘의 경우 3∼5cm정도 자랍니다. 이때 비닐봉지를 벗겨 주어야 하며 건조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접목된 부위가 잘 붙어서 자라게 됩니다.
[접목활착묘 - 비닐하우스 이식(좌), 지주설치(우)]
호두나무의 조직 형성과 생장에는 온도가 많은 영향을 끼칩니다. 최적온도와 임계온도가 있기 때문에 이를 잘 고려하여 접목을 해야 되는데요, 유상조직이 형성되는 최적온도는 25∼30℃이며, 15℃ 이하일 때는 유상조직이 형성될 수 없고 35℃를 넘으면 유상조직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어 이 점에 주의해야 합니다.
이밖에도 습도는 유상조직이 형성되는 다른 하나의 중요조건입니다. 접붙임이 잘 되는데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습도를 유지해 주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접목과정에서는 습도는 80~90%, 접목하고 3주가 됐을 때는 습도 50%를 유지해 주세요.
호두나무 재배를 위한 묘목생산 방법으로 ‘유경접목’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소득작물로 호두나무 재배를 고민하는 임업인이라면 실생묘 외에 접목을 통한 묘목 생산도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호두나무 재배와 관련해 더 궁금한 사항이 있는 분들은 한국임업진흥원 임업인콜센터(1600-3248)로 문의해 주세요. 궁금한 내용에 대해 친절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 위 포스팅은 한국임업진흥원이 주관한 '호두나무 양묘 및 유경접목 기술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조 : '호두나무 양묘 및 유경접목 기술', 국립산림과학원 박영기 박사)

'일거리 > 임업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나무 재선충병에 감염되면 어떻게 될까? (0) | 2014.05.09 |
---|---|
목재 종류의 식별, 어떤 분야에 이용될까? (0) | 2014.05.08 |
마가목의 특징과 효능 (0) | 2014.04.22 |
나무을 통해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산림탄소상쇄제도' (0) | 2014.03.21 |
산림형 사회적기업에 도전하세요! (0) | 2014.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