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업안전 리포트 소나무재선충병 시리즈③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파헤치기"
내 나무를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나무를 병들게 하는 원인을 잘 알아야겠죠?
소나무재선충병 시리즈 3탄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의 매개충에 대해
죽은 소나무나 잣나무에서 나오는 매개충의 배설흔, 침입공, 탈출공을 통해
그리고 침입공을 쪼개어 보면 목재내 1~3cm 깊이에 번데기방이 있고
그 속에 유충 또는 번데기가 서식하고 있어요.
나무좀 탈출공도 원형으로 혼동하기 쉽지만, 직경 2mm 이내로 작아요!!!
다음으로는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인
우화 ‧ 활동시기 | 5월~10월 하순 |
산란 특성 (직경 10cm, 길이 50cm 기준) | 드문드문 낮은 밀도로 산란 |
기주식물 | 곰솔, 소나무, 잣나무 |
지역적 분포 | 충북 이남 |
우화 ‧ 활동시기 | 4월~8월 하순 |
산란 특성 (직경 10cm, 길이 50cm 기준) | 조밀하게 높은 밀도로 산란 |
기주식물 | 곰솔, 소나무, 잣나무 |
지역적 분포 | 전국, 제주 제외 |
얼핏 보면 비슷하지만
이렇듯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는 차이가 있답니다.
소나무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이 어떤지 지금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좀 더 확실한 구분을 하기 위해 다른 정보들도 알려드릴게요!
아래 사진은 유충, 번데기, 성충, 산란흔의 사진인데요~!
찬찬히 살펴보시고 각 충태별로 어떤 모습인지 알아두세요~
뽀오너스~!!
Q.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과 혼동하기 쉬운 하늘소류는 무엇일까요?
A. 1. 털두꺼비하늘소 2. 우리목하늘소 3. 소나무하늘소 4. 깨다시하늘소
Q. 매개충과 오해할 수 있는 천공성 해충은 무엇일까요?
A. 바구미와 소나무좀이 있습니다.
비슷한 듯 하지만 유충의 갤러리 및 탈출공의 크기, 월동생태가 다르기 때문에
주의깊게 살펴보셔야 합니다~!
어때요?
이제 소나무재선충병의 매개충을 구별하고 방지할 수 있겠죠?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을 빨리 발견하고 대처를 취하면
소중한 나무들을 지킬 수 있을 거예요.
|
기타 궁금한 사항은 언제든지 아래의 한국임업진흥원 콜센터로 문의주세요.
날씨가 더운데 맛있는 음식도 많이 드시고, 산에 다닐 때 더욱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소나무재선충병 시리즈 4탄에서 또 만나요~!!^^
소나무재선충병시리즈 ① "소나무재선충병이란?"
소나무재선충병 시리즈 ② "소나무재선충병의 피해증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