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업안전 리포트 소나무재선충병 시리즈② "소나무재선충병의 피해증상은?"
한국임업진흥원과 함께하는 임업안전 리포트
소나무재선충병 시리즈2
소나무재선충병의 피해증상은?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고사목은 어떻게 알아볼 수 있을까요?
소나무재선충병 시리즈 2탄에서는
일반적인 피해증상을 시작으로 예찰 요령, 그리고 소나무재선충병과
솔껍질깍지벌레 피해목 구별 요령까지 알아보도록 해요.
소나무재선충병의 일반적 피해증상
- 묵은 잎부터 변색이 시작되며 시간이 경과하면 잎 전체가 붉은 색으로
변하면서 우산살 모양으로 잎이 아래로 쳐지면서 완전 고사됩니다.
- 9월 이후로 감염시기가 늦어질 경우 병징이 늦게 나타나 이듬해에 고사
되기도 하며, 일부 가지만 죽는 경우도 있습니다.
잣나무 피해특성
- 잎이 우산살 모양으로 갈변하여 아래로 처지는 증상은 소나무와 동일합니다.
- 잣나무도 후기에는 전신 감염증세를 보이나, 소나무나 해송과는 달리
감염초기에 정상적으로 보이는 잎이 부분적으로 관찰되는 등 발병 진전
속도가 지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원거리 관찰시 최상부만 붉게 고사된 잣나무는 역시 감염 의심목으로
간주해야 합니다.
- 잣나무는 소나무, 곰솔과 달리 하부 자연고사된 가지가 떨어지지 않고
고사된 상태로 주간에 붙어있는데요. 이러한 하부고사지에 매개충이
산란하며, 산란하는 과정에서 소나무재선충을 감염시킵니다.
<잣나무 사진>
소나무재선충병은 발병 진전속도가 느려 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나무를 지키기 위해서는 최상층만 붉게 고사된 나무도 감염을 의심하고
주기적으로 예찰을 실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어요.
그럼 다음으로는 지상예찰 요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예찰 요령
◎ 대상수종 : 소나무, 곰솔, 잣나무, 섬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 |
◎ 감염 의심목의 식별 관찰되는 나무 |
<피해 고사목 사진>
소나무재선충병과 솔껍질깍지벌레 피해목은 언뜻 비슷해보이지만,
다른 증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쉽게 구별되기도 합니다.
확실한 구별 요령을 알려 드릴게요~^^
소나무재선충병과 솔껍질깍지벌레 피해목 구별 요령
지금까지 소나무재선충병의 일반적인 피해증상과 더불어 예찰 요령,
소나무재선충병과 솔껍질깍지벌레 피해목 구별 요령을 알아보았답니다.
어때요, 소나무재선충병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나요?
내가 사랑하는 나무가 건강하게 잘 자라고 있는지,
병든 곳은 없는지 항상 관심을 가지고 꼼꼼히 살피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 같아요.
그럼 더욱 알찬 내용을 가지고 소나무재선충병 시리즈 3탄으로 돌아올게요!!^^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한국임업진흥원으로 문의주세요^^*
|
소나무재선충병 시리즈 ①탄
"소나무재선충병이란?"